클래스와 인스턴스의 기초 정리
클래스(Class)
-객체를 정의한 '설계도' 또는 '틀'
-객체를 생성하는데 사용 -> 즉, 객체는 클래스에 정의되고 설계된 내용 그대로 생성된다.
인스턴스(Instance)
-클래스를 통해 생성된 객체
※객체는 모든 인스턴스를 포괄하는 의미/ 인스턴스는 해당 객체가 어떤 클래스로부터 생성된 것인지를 강조.

클래스의 구성요소와 기본 문법

클래스는 크게 4가지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.
1. 필드 - 클래스의 속성을 나타내는 변수
2. 메서드 - 클래스의 기능을 나타내는 함수
3. 생성자 - 클래스의 객체를 생성하는 역할
4. 이너 클래스 - 클래스 내부의 클래스
-위의 구성요소중 '생성자'를 제외한 나머지 3가지 요소를 클래스의 '멤버'라 부른다.
객체
객체는 크게 속성과 기능이라는 두 가지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고 이 속성과 기능은 각각 필드와 메서드로 정의된다.

객체의 생성
객체는 다음과 같이 new 키워드로 생성할 수 있다.
클래스명 참조_변수명 = new 생성자();
-먼저 특정 클래스 타입의 참조변수를 선언하면, new키워드와 생성자를 통해 인스턴스를 생성하여 참조변수에 할당
-new 키워드는 생성된 객체를 힙 메모리에 넣으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 생성자를 통해 객체가 만들어지면 해당 객체를 힙 메모리에 넣는 역할을 수행
객체의 활용
-객체를 활용하기 위해선 .(포인트연산자)를 이용
-포인트 연산조를 활용해 특정 인스턴스 객체의 필드와 메서드에 접근 가능.
개인적으로 보충해야 하는 부분
-메모리 구조(클래스 영역/스택 영역/ 힙 메모리 영역)이란?
-메모리 구조를 통한 객체의 생성과 활용의 흐름
'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서버란 무엇일까? - (Spring - 1) (0) | 2023.12.22 |
---|---|
메인프로젝트에 적용해본 Pageble (0) | 2023.03.09 |
유효성 검사 어노테이션 모음 (0) | 2022.12.16 |
정규 표현식 모음 (0) | 2022.12.16 |
필드 (0) | 2022.11.06 |